오늘 포스팅은 RCEP의 최대수혜를 보리라 예상되는 중기계 관련주인 현대건설기계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文대통령 서명한 RCEP… '이것' 알아야 활용도 높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정문 서명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연
www.joseilbo.com
11월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협정에 서명하며 RCEP가 새롭게 출범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최고의 수혜를 입을 업종을 구분해 보니 그간 저평가구간에 있던 자동차, 철강, 의류, 건설중장비 등을 꼽을 수 있었습니다.
이 중 개인적인 판단으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업종은 건설중장비 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건설기계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간 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건설기계는 국내 건설경기의 장기간 불황으로 중국시장에 기대어 성장할 수 밖에 없었으나, 중국은 근본적으로 기계, 자동차 등의 제품에 물리는 고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두 업체는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고전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는 장기간 저평가구간에 놓여있었고, 코로나 이후 겨우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 내수시장은 중국업체가 시장 전체 점유율의 50%이상 과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기계시장의 혁신을 주도하는 세계 1위 업체인 미국 CATERPILLAR조차도 단 9.1%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러한 불리한 상황속에서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는 각각 3.5%, 7.3%의 중국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고, RCEP를 통한 가격인하효과와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이슈를 통해 시장상황이 매우 유리한 방향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현대건설기계의 PBR은 현재 0.54에 불과하므로 이익부분이 성장세에 돌입한다면 주가는 빠르게 정상화 될 것이며, 별도로 두산인프라코어 인수에 성공하고 RCEP를 통해 동남아 및 중국시장에서 더욱 유리한 조건으로 영업을 해나간다면, 과거 현대자동차, 기아차가 폭등했던 2009~2010년의 렐리를 현대건설기계에서 다시한번 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레 예상해봅니다.
중기계 외에도 RCEP의 많은 수혜를 받을 저평가산업들이 있겠으나, 이중 중기계를 꼽은 이유는 자동차의 경우 수소차의 영향으로 이미 많은 주목을 받아 주가가 이미 많이 올랐고, 철강은 탄소섬유, 섬유는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산업의 이동이 진행되고 있어 미래의 기대치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래의 가치가 온전하고, 현재의 수혜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 현대건설기계야 말로 RCEP의 수혜를 입어 가장 많은 상승을 예상되고, 특히나 M&A 두산인프라코어를 품고 비상할 수 있는 기회까지 열려있으므로 가장 큰 수혜를 볼 수 있는 업체라 생각됩니다.
두산인프라코어 새 주인 이번주 선정…입찰가 높은 현대重 유력 (sedaily.com)
두 회사가 만일 인수합병에 성공할 경우 세계 1위 중기계 기업인 CATERPILLAR의 중국 점유율조차 넘어버리기에 그 영향력은 중기계 시장내에서 무시못할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남아 시장에서도 급격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RCEP의 최대수혜가 예상되는 현대건설기계에 대해 알아보았구요.
위 내용은 단순히 본인의 투자에 참고하시고 모든 투자의 몫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성투하세요~
2020-12-03(목)
금일 현대건설기계에 6%대의 급락이 나와 무슨 악재가 있나 불안하신 분들도 있겠고, 깜짝놀라 이리저리 정보를 취합하시는 분들도 있겠는데요. 금일 하락은 단순한 조정으로 12월 1달간 28000~31000원까지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점대비 약 10~15%의 조정이므로 큰 금액을 투자하는 분이시라면 가슴아픈 기간일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건설기계의 장기시황은 변함없이 유리한 환경이 지속 유지되고 있으며 그렇기에 현재의 구간은 매도시점이 아닌 오히려 매수시점이라 판단됩니다.
본인은 단 1주의 현대건설기계 주식을 들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객관적인 시점에서 보는 관점입니다. 투자에 참조가 되셨으면 합니다.
2020-12-10(목) 건설기계 시장의 절대적 지배자 - 현대건설기계
(1)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단독] 현대重, 두산인프라코어 인수한다…우협 선정 (hankyung.com)
(2) 신흥시장 영향력 확대
현대건설기계, 신흥시장서 총 4000만불 수주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2021년 유망 저평가주식] 새로닉스 - 2차전지 엘앤에프 모기업 (tistory.com)
'주식 > 주식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닥 3대 잠룡] 1대잠룡 슈피겐코리아 - 아마존을 평정한 김대영 대표 (0) | 2020.12.12 |
---|---|
도이치모터스 - 유동성 장세 최대 수혜주 (2) | 2020.12.08 |
[숨겨진 코로나 관련주] 대성창투 - 일산화질소, 유전자가위, 식물기반 백신 단백질 재조합 (0) | 2020.12.01 |
이지바이오 투자일지 (0) | 2020.08.12 |
주식 종목 선택요건 - 슈퍼개미 김정환 (0) | 2020.08.12 |